당신의 머릿속에서 펼쳐지는 지상 최대 사기극!
우리는 왜 같은 것을 보고도 다르게 인지하는가?
이런 뇌과학은 처음이야!’
독일 슈피겔, 아마존 베스트셀러에 빛나는,
당신의 뇌를 행복하게 해 줄 바로 그 책!
유쾌한 아웃사이더 장동선 박사의
수다처럼 즐거운 뇌 이야기
『뇌 속에 또 다른 뇌가 있다』는 2016년 독일의 로볼트 출판사에서 나온 『Mein hirn hat seinen eigenen kopf』의 한국어판이다. 독일 슈피겔 베스트셀러, 독일 아마존 베스트셀러에 오르며 출간되자마자 화제가 되었다. 이 책을 쓴 뇌과학자 장동선 박사는 독일 튀빙겐의 막스플랑크 바이오사이버네틱스연구소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독일, 세계를 무대로 과학을 통해 대중과 소통하는 과학 커뮤니케이터이다. 2014년 독일 과학 강연 대회 ‘사이언스 슬램Science Slam’ 최종 우승, 2015년 페임랩 인터내셔널FameLab. International에 독일 대표로 출전하여 최종 9인에 드는 등 과학 지식과 대중 강연 실력을 동시에 인정받아 왔다.
저자는 청소년 시절 ‘나는 누구인가?, 나를 둘러싼 이 사회는 어떻게 움직이는가?’, ‘왜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을 의식하는가?’, ‘왜 이해받기를 원하는 동시에 다른 사람들을 오해하는가?’와 같은 질문을 던지며 인간의 뇌와 행동의 메커니즘을 탐구하는 재미에 빠져들었다. 저자는 그 답을 ‘사회적 뇌’에서 찾는다. 우리의 뇌는 다른 사람들과 공동생활을 하기에 최적화돼 있으며, 다른 사람과 함께할 때 비로소 뇌도, 나도 행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뇌 속에 또 다른 뇌가 있다』의 이 같은 결론은, 전문용어와 복잡한 운동으로 둘러싸인 뇌의 비밀을 한 꺼풀 벗겨 줄 뿐만 아니라, ‘뇌과학’이라는 자칫 어려울 수 있는 주제를 한국계 독일인으로서, 뉴욕에 거주하던 당시 유색인종으로서 마주했던 문화적 충돌과 에피소드들로 경쾌하게 풀어내고 있다. 더불어 45건의 실험 사례들을 적절하게 인용해 주장의 신뢰를 높였으며 어려운 뇌과학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도 뇌의 본질에 가닿고 있다. 이로써 한국 독자들의 관심을 뇌과학 연구의 최전선에서부터 철학과 심리학, 사회학과 인문과학의 너른 지평으로까지 확대시키며 우리가 몰랐던 뇌의 진실들을 탐색하는 과정을 친절하게 안내한다. 뇌과학이 아닌 ‘뇌 인문학’으로 이름 붙여도 손색없는 이유이다.
한국어판 서문
프롤로그 | 나를 찾는 여행, 매혹적인 뇌과학
brain 01
흰색-황금색, 파란색-검은색 옷과 투명 고릴라
같은 것을 보고도 우리는 왜 다른 세상을 경험하는가
brain 02
사람 같은 자동차와 펭귄 같은 사람들
우리는 다른 사람들을 어떻게 인지하는가
brain 03
진짜 같은 가짜 손과 믿지 못할 뇌
우리는 우리 자신을 어떻게 인지하는가
brain 04
함께 클릭하기와 따돌림당하는 아바타
우리는 가상현실을 어떻게 경험하는가
brain 05
서랍 속에 숨긴 약점과 순박한 집단 지성
집단은 우리의 지각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brain 06
얼빠진 금융가와 무지한 전문가
돈, 권력, 종교는 우리를 어떻게 좌우하는가
brain 07
관대한 독재자와 놀림받는 선한 이웃
협력은 어떻게 생겨나며 언제 이용당하는가
brain 08
오해하기 쉬운 눈길과 거역하기 힘든 상황
문화적 배경은 지각을 어떻게 조종하는가
brain 09
의지와 무관한 플라세보와 ‘나’보다 높은 ‘우리’
우리는 어떻게 자신과 남들을 변화시킬 수 있는가
에필로그 | 답을 찾는 뇌, 인간적인 뇌
참고 문헌
그림 출처